반응형 엔지니어5 자연발화 방지방법, 습도를 낮게하는 이유 자연발화를 방지하기위한 환경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습도를 낮게한다 2. 주위 온도를 낮게한다 3.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여기서 일반적인 상식으로 의문인 것은 겨울이나 봄철 건조할 때 산불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 것이다. 그런데 습도를 낮게하는 것이 자연발화를 방지하는 방법이라고? 그 이유는 열전달율 때문이다. 공기와 수증기의 열전달율 비교하면 수증기의 열전달율이 훨씬 높다. 이러한 이유에서 수증기가 열전달을 돕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습도를 낮게 유지해야한다. 일예로, 습식 사우나가 100도 정도 된다면 들어간 사람은 화상을 입을 것이다. 하지만 동일한 온도인 건식사우나에 들어가면 화상을 입지 않는다. 따라서, 습도가 낮으면 열축적이 적지만 습도가 높으면 열축적이 많이 일어나고 쉽게 발화할 .. 2021. 1. 19. 발화점, 인화점, 연소점 소방설비기사 공부를 시작하며 생소하고 어려운 단어들을 내 방식대로 쉽게 풀어서 정리했다. 발화점 (Ignition Point, 착화점) : 불을 가져다 대지 않아도 스스로 타오르는 온도 : 점화원에 접촉없이 스스로 불이 붙음 인화점 (Flash Point, 유도발화점) : 불을 가져다 대었을 때 불이 붙는 최저온도 : 점화원을 가져다 대었을 때 불이 붙는 최저온도 연소점 (Fire Point, 화재점) : 불을 가져다 대서 불이 붙었을 때 갖다 댄 불을 제거해도 불이 유지되는 최저온도 : 점화원 제거 후에도 계속적으로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저온도 온도비교 (인연발) 인화점 < 연소점 < 발화점 ※참고 인화점과 연소점의 온도차이는 대략 10˚C로 생각한다. 2020. 12. 28. 압력스위치(PS : Pressure Switch) 압력스위치란? 압력스위치는 탱크 및 배관내의 압력을 감지해 주펌프와 충압펌프를 기동, 정지하는 역할을 하는 스위치입니다. 주로 소방설비의 압력챔버와 함께 사용됩니다. 압력스위치 설정 압력스위치는 RANGE 설정값과 DIFF 설정값에 의해 동작합니다. RANGE값과 DIFF값은 압력스위치 상단의 조절나사로 조정하며,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지침이 올라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내려갑니다. 1. DIFF(Difference) 펌프의 정지세팅값과 기동세팅값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2. RANGE 펌프의 정지입력값 입니다. 압력이 RANGE값에 도달했을때 펌프의 기동이 정지되는 것이죠. 위 사진에서 RANGE의 왼쪽편 단위는 kgf/㎠ 오른쪽은 Mpa(메가파스칼)로 되어있습니다. 1Mpa = 10kgf/㎠ 1kgf/.. 2020. 3. 18. 전자식 모터보호계전기(EMPR : Electronic Motor Protection Relay) 전자식 과전류계전기(EOCR :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는 전자식 모터보호계전기(EMPR : Electronic Motor Protection Relay)이라고도 하며 이는 메이커별 네이밍의 차이입니다. 제품의 카탈로그를 보니 Schneider Electric사의 제품은 EOCR, LS산전의 제품은 EMPR로 네이밍 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어제 포스팅한 EOCR포스팅의 연속물로 조금더 구체적인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제목과 동일하게 EMPR로 통일하여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EMPR은 전자접촉기(MC : Magnet Contact)의 2차측에 설치하며 교류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전류의 범위는 0.5~60A이며 조작전원은 110~260V로 A1, A2를 .. 2020. 2. 1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