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엔지니어/소방2

자연발화 방지방법, 습도를 낮게하는 이유 자연발화를 방지하기위한 환경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습도를 낮게한다 2. 주위 온도를 낮게한다 3.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여기서 일반적인 상식으로 의문인 것은 겨울이나 봄철 건조할 때 산불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 것이다. 그런데 습도를 낮게하는 것이 자연발화를 방지하는 방법이라고? 그 이유는 열전달율 때문이다. 공기와 수증기의 열전달율 비교하면 수증기의 열전달율이 훨씬 높다. 이러한 이유에서 수증기가 열전달을 돕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습도를 낮게 유지해야한다. 일예로, 습식 사우나가 100도 정도 된다면 들어간 사람은 화상을 입을 것이다. 하지만 동일한 온도인 건식사우나에 들어가면 화상을 입지 않는다. 따라서, 습도가 낮으면 열축적이 적지만 습도가 높으면 열축적이 많이 일어나고 쉽게 발화할 .. 2021. 1. 19.
발화점, 인화점, 연소점 소방설비기사 공부를 시작하며 생소하고 어려운 단어들을 내 방식대로 쉽게 풀어서 정리했다. 발화점 (Ignition Point, 착화점) : 불을 가져다 대지 않아도 스스로 타오르는 온도 : 점화원에 접촉없이 스스로 불이 붙음 인화점 (Flash Point, 유도발화점) : 불을 가져다 대었을 때 불이 붙는 최저온도 : 점화원을 가져다 대었을 때 불이 붙는 최저온도 연소점 (Fire Point, 화재점) : 불을 가져다 대서 불이 붙었을 때 갖다 댄 불을 제거해도 불이 유지되는 최저온도 : 점화원 제거 후에도 계속적으로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저온도 온도비교 (인연발) 인화점 < 연소점 < 발화점 ※참고 인화점과 연소점의 온도차이는 대략 10˚C로 생각한다. 2020. 12.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