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엔지니어/전기

전자식 과전류계전기(EOCR : Electric Over Current Relay)

by 오션뷰박대리 2020. 2. 16.
반응형

LS산전 EOCR DMP시리즈

과전류계전기(OCR)는 기계접점이 가동하는 구조이며, 전자식 과전류계전기(EOCR)는 반도체 무접점으로 가동하는 구조로 가동방식에 따른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포스팅에서는 가동하는 구조의 차이를 구분하지 않고 OCR, EOCR을 포함하는 과전류계전기의 전반적인 개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과전류계전기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제174조(전동기 과부하 보호 장치의 시설)에 따라 전동기와 함께 설치되는 계전기입니다.
현장에서 베이링의 소손으로 기계적 마찰이 증가했을 때, 기계에 이물질이 꼈을 때, 벨트장력이 강력할 때 등 필요로 하는 전류인 정격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르면서 전동기 내부 코일의 가열으로 모터가 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과거에는 전동기 보호를 위해 열동계전기(THR : Thermal Relay)를 사용했으나 시간특성에 대한 조절을 할 수 없는 단점때문에 요즘 대부분의 신설현장에는 전동기 과부하 보호장치로 EOCR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동기 EOCR포함 시퀀스 회로

즉 차단기(CB : Circuit breaker), 전자접촉기(MC : Magnetic contact), 전자식 과전류계전기(EOCR)가 전동기와 한 쌍으로 이뤄지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OCR-SP

상기에 있는 EOCR 이미지를 통해 각 부위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A1, A2 : 동작전류확보를 위한 전원단자

95 : 공통단자

96 : B접점 단자(과부하시 트립)

98 : A접점 단자(램프, 부저 동작)

 

PWR : A1과 A2의 전원 단자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때 점등

TEST : 임의적으로 트립시키는 버튼

LOAD : 과전류 동작전류 값을 세팅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동기 정격의 1.2~1.25배로 세팅

RESET : EOCR이 과전류로 트립되었을 때 문제상황에 대한 대응을 끝낸상태에서 트립을 해지하여 복귀시키기 위한 버튼            (자동조작 수동복귀)

O-TIME : 과전류가 생겨도 설정한 값 까지는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

            기동전류와 같은 일시적 과전류로 인해 자주 트립되면 운영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

 

 

 

위와 같은 각각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하시는 EOCR의 카탈로그를 읽기를 권장드립니다.

또한, 전기를 다루실 때는 사용하시는 제품의 카탈로그나 매뉴얼을 꼭 읽어보는 습관을 기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