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엔지니어/전기

전자식 모터보호계전기(EMPR : Electronic Motor Protection Relay)

by 오션뷰박대리 2020. 2. 17.
반응형

전자식 과전류계전기(EOCR :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는 전자식 모터보호계전기(EMPR : Electronic Motor Protection Relay)이라고도 하며 이는 메이커별 네이밍의 차이입니다. 제품의 카탈로그를 보니 Schneider Electric사의 제품은 EOCR, LS산전의 제품은 EMPR로 네이밍 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어제 포스팅한 EOCR포스팅의 연속물로 조금더 구체적인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제목과 동일하게 EMPR로 통일하여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LS산전 GMP60-3TZ


EMPR은 전자접촉기(MC : Magnet Contact)의 2차측에 설치하며 교류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전류의 범위는 0.5~60A이며 조작전원은 110~260V로 A1, A2를 통해 전원을 공급합니다.

EMPR의 보호기능으로는 과전류, 결상, 구속, 지락, 불평형이 있으며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과전류, 지락, 불평형은 제외하고 구속과 결상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구속 : 모터가 기계적 원인으로 모터가 돌지 않는 현상
결상 : 전선이 단선되었거나 차단기 또는 파워퓨즈의 고장으로 3상 교류회로 중 하나이상의 상에 전압이 띄지 않는 상태

 

다음은 GMP60-3TZ에 대한 설명입니다.

 

D-TIME(Delay Time) : 기동지연시간

 - 모터 기동시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과전류로 인식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

 - 0.2~60초까지 동작시간 설정가능

 - 기동시간을 모를 때 D-TIME설정 방법
  1. D-TIME을 최대치로 설정
  2. 모터 기동 후 표시창에 표시되는 전류가 기동 전류에서 정상 운전 전류로 안정화되는 시간 측정
  3. 측정된 기동 시간에 약 2초 정도를 더한 시간으로 D-TIME설정

RC : 동작전류값
 - 동작전류값 설정 방법 
  1. RC노브를 최대로 두고 모터 기동 
  2. 모터 운전상태에서 RC노브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과전류 표시등이 점멸되는 지점에서 정지
  3. RC노브를 시계 방향으로 다시 돌려 과전류 표시등이 완전히 소등되는 지점에 설정

O-TIME(Operation-Time) : 동작시간

 - 실제 운전시에 과전류가 일정 시간 계속될 때 동작하는 하도록 설정
 - 전류 설정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계전기가 동작할 때까지의 시간 설정
 - 동작시간은 0.2~15초까지
 - 과부하시 동작시간은 동작시간 조정 노브로 설정

Test/Reset 버튼

 - 버튼을 한 번 누르면 Trip
 - 다시한번 더 누르면 초기상태로 복귀
 - 트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모터가 "운전중"일때는 버튼이 동작되지 않도록 설계됨 
 - 버튼을 0.5초 이내 두번 누르면 PWR LED가 점멸하면서 최종 트립시 LED점등 상태가 표시되어 최종 트립 원인 확인

 

여기까지 GMP60-3TZ의 설명이였습니다. 저는 D-TIME과 O-TIME에 대한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였는데 좋은자료가 있어 추가적으로 공유드립니다.

 

Schneider Electric사 질문게시판 자료

위 자료를 보면 알 수 있듯 D-TIME은 기동에 대한 설정 O-TIME은 기동 후 과부하 지속시간에 대한 설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전동기 용량에 대한 EOCR세팅을 주제로 작성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