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격이 전국적으로 상승하면서
청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열기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들 청약이라고하면 "언젠가 나도 당첨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실텐데요.
실제로 청약에 당첨되기란 쉽지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일반분양되어 나온 분양권을
프리미엄(웃돈)을 주고 매수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런데 이런 분양권을 잘살펴보면 프리미엄이
극명하게 차이나는 물건들이 있습니다.
자세히 그 내용을 보시면 알 수 있는데
지역주택조합이 시행사로 있는 아파트의 경우
지주택 조합원 물건과 일반분양 물건이 혼재되어 시장에 나옵니다.
지주택 물건의 경우 조합원 자격조건을 갖춰야 매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분양 물건보다 프리미엄이 작은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지주택 물건을 투자 하기위해서는 지주택의 개념과 장단점을 명확히 알아야합니다.
아래에 간략하게 정리하여 공유드립니다.
지주택(지역주택조합) 개념
지주택은 국가에서 무주택자 or 서민들이 청약통장없이 아파트를 저렴하게
분양받을 수 있도록 인정해주는 시스템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지역주택 조합원으로 가입하여 아파트 건설사업을 함께하는 구성원 개념입니다.
지주택(지역주택조합) 특징
지역주택조합의 경우 "모델하우스"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건축사업승인을 받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지주택은 조합원들을 모집할 때 "주택홍보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조합원을 모집합니다.
지주택은 일반분양과 다르게 작성하는 서류도 많습니다.
일반분양에서 작성하는 계약서는 당연히 작성하며, 사업추진 위임장 및 동의서도 함께 작성합니다.
지주택이 조합설립인가하는 과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토지물색 → 조합추진위원회 설립 → 조합원 모집
실제로 계약하는 부분이 조합원 가입을 하는 과정입니다.
조합원(계약자)이 일정이상 모이게되면 조합설립인가 신청을 하고
조합설립인가 허가가 난 이후 사업계획승인신청하며 그 이후의 과정을 일반분양과 동일합니다.
지주택(지역주택조합)의 단점
지주택의 가장 큰 단점은 아파트 건설이라는 사업을 같이 하는 구성원이기때문에 모든 책임을 함께 지는 것입니다. 사업승인을 받기까지 준비해야할 사항과 허가문제들이 즐비해 있으며 이런 과정에서 공사가 딜레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사업이 실패하는 경우도 많으며 지연되어 착공이 안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지주택의 물건을 투자하실때는 아래의 사항을 확인해보셔야합니다.
특히 토지매입이 어느정도 되었는지 꼭 확인하셔야합니다.
- 토지매입
- 토지사용승인
- 조합원 모집수
- 착공 및 준공까지 기간
- 지구단위 용도변경 여부
'생활정보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가능성, 전략 (0) | 2021.12.01 |
---|
댓글